News & Case

저장매체 별 데이터 삭제 프로세스 소개

조회수 : 20 작성일 : 2025. 09. 10


1. 데이터 삭제와 재제조 

리플러스로 들어오는 디지털기기의 검수 및 데이터 삭제는 (주) 리맨에서 도맡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 주식회사리맨 ESG경영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해동안 리맨은 재사용 제품은 연간 20만대, 재제조 제품은 1만대, 재활용 자재는 2,300톤을 출고하였습니다. 동시에 리맨은 최근 5년간, 연 평균 12만 건의 데이터삭제를 진행했습니다. 2008년, 한국컴퓨터재생센터로 시작해 17년간의 기술이 축적된 데이터삭제 노하우는 리맨이 가진 최대 강점 중 하나입니다.

2. 저장매체 별 데이터 삭제 프로세스

#1 자기저장장치 : 하드디스크

자기저장장치 하드디스크(HDD) 데이터 삭제

<자기저장장치 하드디스크(HDD) 데이터 삭제>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각 국가별로 조금씩 다른 기준을 요구합니다. 미국 국가안보국의 중앙보안서비스(NSA/CSS)는 하드디스크 데이터 삭제 기준을 다음과 같이 규정했습니다. NSA/CSS 평가를 받은 자동 디가우저를 사용하여 소거하거나, 디가우징 완드를 이용해 플래터의 모든 표면을 소거하는 방식입니다. 혹은 플래터를 2mm 크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는 방식의 하드 드라이브 삭제 방법도 포함됩니다.

한국은 국가정보원에서 국가·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을 배포했으며, 저장 자료의 보안등급에 따라 적절한 삭제 기준이 존재합니다.

저장매체/저장자료공개자료비공개 자료비밀자료 / 대외비 자료
하드디스크 HDD포맷 또는 삭제디가우징 또는 완전 삭제 S/W물리적 파괴

<표 1. 국가정보원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20.12.17 개정) 제 5조 1항’ 하드디스크 처리 기준>

공개 자료는 저장매체 완전포맷(소프트웨어 삭제)을 1회 진행하여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식만으로도 가능합니다. 개인정보 등이 들어있는 비공개자료는 완전 포맷을 3회 진행하거나, 완전파괴(소각, 파쇄, 용해)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혹은 전용 디가우징 장비를 이용해 데이터를 삭제하며, 이 장비는 반드시 저장매체의 자기력보다 큰 자기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비밀자료와 대외비가 들어 있는 저장매체는 완전파괴(소각, 파쇄, 용해) 혹은 디가우징을 이용해서만 데이터 삭제를 진행해야 합니다.

자기저장장치 하드디스크(HDD) 천공 작업

<자기저장장치 하드디스크(HDD) 천공 작업>

리맨은 이와 같은 글로벌 보안 처리 기준들을 충족하며 저장매체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삭제전문프로그램인 블랑코 Blancco Drive Eraser, PE600 등을 사용해 소프트웨어 사용해 보안삭제를 진행합니다. 완벽한 데이터 삭제 이후 저장매체별 시리얼 넘버를 포함한 보안삭제 리포트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드디스크 파쇄기하드디스크 천공기디가우저
처리
대상
모든 종류의 HDD 및 광학디스크모든 종류의 HDD모든 종류의 HDD 및 광학디스크
처리
시간
HDD 기준 개당 약 20초HDD 기준 개당 약 10초HDD 기준 개당 약 10초
처리
능력
시간당 약 200개(*작업시간 실반영)시간당 약 100개(*작업시간 실반영)시간당 약 100개(*작업시간 실반영)
특장점HDD 완전파쇄
결과 신뢰도 최상
HDD 완전파쇄
결과 신뢰도 최상
미국 국가안보국(NSA) 인증 장비

<표 2. 리맨 데이터 물리적 파괴 방식>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서 파쇄기, 천공기, 디가우저까지 총 3개 방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가우저는 미국 국가안보국의 인증을 받은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하드디스크 데이터 삭제를 위해 사용하는 파쇄기는 DIN Standard 중 DIN66399도 함께 충족하고 있습니다. DIN66399는 독일 공업규격위원회(Deutsches Institut für Normung)에서 정립한 국제표준규격으로 문서 세단기의 성능과 보안등급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리맨은 H-5등급인 320mm² 이내의 입자로 하드디스크를 파쇄하며, 20mm²까지 파쇄가 가능합니다.

DIN66399 규정


이미지출처 : the shredder warehouse


#2 반도체 저장매체 : SSD (Solid State Storage Devices), USB 등

미국 국가안보국의 중앙보안서비스(NSA/CSS)의 지침에 따르면, SSD는 자기 디가우징(자기 소거)이 불가능하므로, 물리적인 파괴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완전히 소거해야 합니다. SSD는 내부 메모리칩을 파쇄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2mm 이하 크기로 파쇄되는 기기를 사용해 분쇄하거나, 소각처리를 통해 파괴해야 합니다.

반도체 저장매체 SSD 데이터 삭제

<반도체 저장매체 SSD 데이터 삭제>

국가정보원의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도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완전 포맷과 더불어 완전 포맷이 되지 않는 경우는 소각, 파쇄 등 완전 파괴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저장매체/저장자료공개자료민감자료 (개인정보 등)비밀자료 (대외비포함 등)
반도체 메모리 (SSD, USB, EEPROM 등)포맷 또는 삭제완전 삭제 제품물리적 파괴

<표 3. 국가정보원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20.12.17 개정) 제 5조 1항’ 반도체 메모리 처리 기준>

2021년 개정된 해당 지침에 따르면 공개/비공개 자료는 완전 삭제 제품을 이용해야하며 해당 제품은 “덮어쓰기+SSD 매체 지원 표준 삭제 명령 조합지원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SSD는 데이터를 입력할 때 중복 데이터를 압축해 기록하며, 기존의 HDD와 같은 방식 (0,1 덮어쓰기)의 덮어쓰기를 적용해서는 완벽한 수행이 불가능합니다. 클로닉스(Clonix)사의 SSD 삭제 장비가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안보센터에서 저장매체 삭제 장비에 대한 보안 적합성 인증을 받아, 공공기관 및 기업에 서 해당 장비를 도입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NVMe SSD는 적합성 인증을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또한 Windows 환경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 데이터 삭제 지원 기능이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리맨에서 사용하고 있는 블랑코 Blancco Drive Eraser는 랜덤 값 데이터로 덮어쓰기가 가능한 기술이 적용되어 보안 적합성 기준을 충족합니다 (미국, 유럽, 일본의 특허 취득). 또한 SSD 덮어쓰기, 다양한 제조사의 다기종 SSD에 대한 펌웨어 기반 삭제명령 등을 지원합니다.

외관 상 데이터 삭제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불안을 해결하고자 저장매체별 시리얼 넘버를 포함한 보안삭제 리포트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블랑코의 보안삭제 리포트는 인위적으로 작성할 수 없고, 시스템을 통해 저장매체의 제조사, 모델명, 시리얼 번호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삭제시간과 종료시간까지 자동으로 기록하여 리포트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SSD 폐기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파쇄기는 DIN66399도 함께 충족하고 있습니다. SSD와 M.2 SATA, 이동식 USB 등을 파쇄할 경우 E-5, E7 지침을 준수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보안 등급에 따라 선택 가능합니다.

#3 기타 저장매체 : 스마트폰

NSA/CSS에서는 Flash memory를 사용하는 스마트폰 같은 경우, SSD와 같은 기준으로 파쇄와 소각 등 물리적 파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블랑코를 사용하는 데이터 삭제 작업

<블랑코를 사용하는 데이터 삭제 작업>

제조사 차원에서는 공장초기화 이후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며, 리맨에서는 필요에 따라 공장초기화 외에도 데이터삭제전문프로그램 블랑코 Blancco Solutions를 사용해 데이터 삭제를 진행합니다. 최근 대형 통신사에서도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해 중고 스마트폰 데이터 삭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노후, 파손등의 이유로 위의 두 방식을 사용하지 못할 땐 파쇄를 통한 물리적 파기가 가능합니다. 스마트폰 파쇄는 SSD 파쇄기와 마찬가지로 DIN66399의 E-6등급인 1mm²로 분쇄 됩니다.


리맨의 데이터삭제 프로세스를 더 자세히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 리맨 데이터삭제 프로세스 보러가기 


이전글 [헤럴드경제] 코트라, 재생산 디지털기기로 정보취약계층에 희망 나눔 2025. 09. 03
저장매체 별 데이터 삭제 프로세스 소개 2025. 09. 10